여러분 안녕하세요!
슬기로운 반려생활 우디형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강아지에 일반적으로 생기는 눈병의 종류와 주요 증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강아지가 양말, 장난감, 비닐 등 먹으면 안 되는 이물질을 삼켰을 때 보호자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몇 가지 방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강아지의 눈병 종류와 주요 증상에 대해 궁금하다면? ▼
https://smartpet.tistory.com/86
강아지 눈병 종류와 주요 증상
여러분 안녕하세요! 슬기로운 반려생활 우디형입니다. 지난 시간에는 암컷 강아지가 마운팅 하는 이유와 중성화 수술 관련된 내용을 말씀드렸는데요, 이번에는 강아지 눈과 관련된 질병에는 어
smartpet.tistory.com
강아지가 이물질을 삼켰을 때 대처 방법
1. 차단/안전확보 : 강아지가 어떤 이물질을 삼키게 되었을 경우, 추가로 다른 이물질을 삼키지 못 하도록 주변에 있는 위험요소를 제거하고 강아지를 안전한 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2. 병원 연락 : 강아지의 이물질 삼킴 발견 즉시, 가능한 빨리 동물병원에 연락을 취해야 합니다. 수의사는 상황을 파악하고 어떠한 조치가 필요한지 보호자에게 알려줄 것입니다. 만약 생사가 걸린 위급한 상황이라면 발견 즉시 동물병원에 데리고 가야 합니다.
3. 정보 수집 : 강아지가 어떤 물질을 삼켰는지 파악이 가능하다면 동물병원에 사전에 알려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이물질의 종류, 양, 시간 등을 체크해놓는 것이 수의사가 판단을 내리고 조치를 취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4. 증상 관찰 : 강아지의 행동과 증상을 주의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구토, 설사, 호흡, 행동상태 등을 체크하고 동물병원에 내원 시 해당 정보를 수의사에게 알려주어야 합니다.
5. 구토 유도 : 수의사의 지시에 따라 구토 유도를 해야 할 수도 있으나, 보호자가 인터넷이나 자의적인 판단에 의해서 어떠한 가이드 없이 구토 유도를 시도해서는 안 됩니다. 반드시 수의사의 의견과 가이드에 따라 대처해야 합니다.
6. 상담/치료 : 동물병원에 내원하여 수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강아지 상태에 따른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7. 예방 조치 : 치료가 정상적으로 진행된 후에는, 강아지가 다시는 이물질을 삼키지 않도록 위험이 되는 요소들을 주변에서 보이지 않도록 치워줘야 합니다. 또한 순간 순간 강아지가 위험한 이물질을 삼키지 않는지 잘 관찰함으로써 다시는 이물질을 삼키지 않도록 예방 조치를 해야하겠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강아지가 갑자기 이물질을 삼키게 되었을 때
우리 보호자들이 당황하지 않고 어떻게 대처하면 좋을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 내용도 초보 견주님들과 구독자분들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이셨길 바라겠스니다.
그럼 행복한 목요일 저녁 보내시고, 저는 다음 시간에 유익한 내용을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려행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아지 자는 모습으로 보는 다양한 심리 상태 (2) | 2023.09.16 |
---|---|
강아지 발정기 주요 증상과 대처 방법 (26) | 2023.09.15 |
암컷 강아지 마운팅 이유, 중성화 이점 및 유의사항 (23) | 2023.09.14 |
강아지가 땅 파고 바닥 긁는 이유 (1) | 2023.09.14 |
강아지에게 사람 음식을 줄 때 유의사항 (22) | 2023.09.13 |